안녕하세요 ! 가희 도진이 파파에요!
어느덧 도진이가 태어난지 80일
훌쩍 넘어가 벌써 생후 3개월에
접어들고 있어요!
이런 도진이가 벌써 아우 ~ 우아
아! 아! 하며 옹알이를 하더라구요!
오늘은 옹알이를 하는 시기와
옹알이가 늦어 청각에 이상이 있는건
아닌지 걱정을 하는 양육자 분들을
위해 옹알이 시기 옹알이를 하는이유 ,
옹알이 단계 , 옹알이의 기능 , 청각
장애아의 옹알이의 특징에 대한
정보를 공유 해볼께요!
말 늦는 아이에 대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블로그 초기 포스팅중
말늦는 아이에 대한 대한 내용도
있으니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볼수 있어요!
옹알이란 ?
아기가 구체적인 단어와 문장을 말하기
이전 시기에 내는 소리로 동일하거나
다양한 음절을 되풀이하며 소리내는 것으로
일종의 발성 놀이라 볼수 있어요
옹알이 하는 시기는 ?
본격적인 옹알이는 보통 생후 4개월 ~
6개월 부터 자음과 모음으로 이루어진
한 가지의 소리를 내며 옹알이가
시작되는데요
생후 2개월쯤 되면 아이는 아 , 에 와 같은
모음 발성을 , 생후 3개월이 지나면 아 , 우 , 으
등 서로 다른 모음의 소리를 연이어 내고
수초 이상 계속 소리내는 모습을 볼수 있어요
옹알이는 왜 하는걸까요 ??
일반적으로 많이 알고있는 이유로 아기는
자신의 옹알이를 들으며 그 소리에 흥미를
갖게되고 또 듣고싶어 소리들을 내게되죠
그러나 이 옹알이는 일상 생활에서 언어적
단서를 지각하고 이를 바탕으로 옹알이를
하게 되면서 단어 학습으로 이어지는데요
아기의 언어 지각 > 옹알이 > 단어습득의
단계로 연속적인 발달 과정으로 하게되죠
옹알이의 기능은 무엇일까요 ?
위 내용에서 보았듯 옹알이는 언어발달
과정중 옹알이 단계에서 아기들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게되고
언어 습득의 시기로 접어들게되죠
이 시기에 주변 사람들이 하는 말소리를 듣고
모방하는 강화학습의 과정을 거치게 하며
후에 언어를 구사하기 위한 연습을 하게하죠!
옹알이의 단계
1. 발성단계
출생후 부터 2개월 정도의 시기로 이 시기의
아기는 생리현상이나 생물학적 반사에 의해
나오는 소리인 울음, 딸꾹질, 기침, 보채는
소리, 트림 등으로 의사소통을 하기위한
소리는 아니에요
2. 쿠잉단계
생후 2개월에서 3개월에 나타나며 보통
생후 2개월 정도가 되면 아기들은 다양한
울음소리를 내고 모음과 비슷한 소리를
내기 시작하는데
구 쿠 와 같은 비둘기 소리와 비슷한 모습을
볼수 있게되며 발성단계와 같이 의사소통을
위한 소리는 아니라고 볼수 있어요
3. 확장단계
4개월에서 6개월의 아기들의 단계로
보며 이 단계의 아기들은 깩깩거리는
소리나 비명 소리 등을 내는 모습을 보여요
이때 4개월 정도 되면 특정한 상태를
나타내려는 목적으로 울기도 하면서
이 시기에는 모음을 좀 더 확실하게
소리내기 시작하고 소리의 크기나 높고
낮음의 조절을 시작하는 시기이죠
4. 반복 옹알이 단계
생후 7개월에서 10개월즈음 되는 아기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옹알이로
볼수있고
이 시기부터 아기는 바 와 가 같이 자음+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절 한 가지를
되풀이하여 말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이러한 모습을 반복 옹알이 단계로
보고있어요
또한 아기들은 이 시기에 모음과 자음이
어떻게 다른지 알게 되며 성대의 조절을
좀더 잘할수 있게되죠
5. 혼합 옹알이 단계
생후 10개월 에서 18개월 사이에 아기들은
기존의 옹알이와 같이 여러가지 음절을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음절을 다양한
순서로 말하는 비반복 옹알이 또는 혼합
옹알이를 보이게 되는데요
생후 12개월 이후부턴 실제 언어와 유사한
옹알이를 보이면서 점점 실제단어와
옹알이를 섞어 사용하는데
생후 19개월에 이르러 옹알이는 줄고
실제언어를 사용하게되죠
옹알이 문제가 있어 안하는 걸까요 ?
위에서 보듯 옹알이는 언어 발달의
한 과정으로 볼 수 있는데요
옹알이를 통해 아이의 언어 발달에
대해서 예측이 어느정도 가능 하다고도
볼수있죠
그래서 보통 생후 6개월 이상의
영아에게서 나타나는 반복 옹알이
단계가 생후 10개월이 지나도 나타나지
않는다면 단어 습득과 언어 발달에 장애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볼수있고 청각
장애가 있거나 음운체계 습득에 장애가
있을수 있어요
청각장애 아이들도 옹알이를해요!
청각 장애를 가진 아기들도 입으로
소리를 내는 옹알이를 하는데요
청각장애 아기의 옹알이는 청각 장애가 없는
아기들의 옹알이와 비교하면 시기적으로
늦게 나타나고 옹알이가 나타나기 시작하는
시기의 범위가 광범위하죠
초기 반복옹알이 시기가 시작되기 전인
5개월 ~ 6개월 이전까지는 정상적인
청각을 가진 아기와 청각장애 아기의
소리는 거의 비슷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청각장애 아기들이
발성하는 옹알이에는 음절종류가
감소하는데 정상적인 청각기능을
가진 아기의 경우 주변 소리를 듣고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 발음체계가
더욱 발달되며 계속적으로 강화하여
후엔 사용할수 있는 음절의 종류가
늘어나게 되지만
청각장애 아기들의 경우 주변 소리를
듣지못해 강화하지 못할수 밖에없고
결국 표현할수 있는 음절의 종류가
확장되지 못하는거죠
결론적으로 청각장애 아기들의 옹알이는
정상적인 청각능력을 가진 아기들의
옹알이보다 발생 빈도가 적고 옹알이에서
나타나는 음절의 종류도 적죠
후에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옹알이가
사라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요
아기가 내는 옹알이는 아기 자신의 소리와
타인의 말소리를 모방하는 과정을 통해서
보다 정교한 언어로 발달하게 되는데요
옹알이는 언어 발달의 기초단계로 보고
옹알이를 통해서 영아의 언어발달의
양상을 예측할수 있다는점
청각장애 아기의 경우도 옹알이를
보이는 점 좋은 정보가 되었나요 ?
끝으로 아기들이 옹알이에서 언어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하단걸 꼭 기억하고
양육 과정에서 영아의 옹알이에
적절한 반응을 보여 주는것도
언어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수있겠죠?
오늘도 즐거운 하루 되세요 !!
⇣유익한 포스팅⇣
'파파의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밥 안먹는 아이 유형 체크하고 유형에 따른 양육자의 방식에 변화가 필요해요!!(2/3편) (0) | 2021.05.06 |
---|---|
밥 안먹는 아이 유형 체크하고 유형에 따른 대처법까지 알아봐요!(1/3편) (0) | 2021.04.29 |
손빠는 아기 (손가락 빠는 아이 )이유가 뭘까요?? 만 4세 이전엔 천천히 바로잡아요!! (1) | 2021.04.07 |
신생아 귀지(아기귀지) 귓밥 제거 꼭 해야할까요? (3) | 2021.03.19 |
신생아 분유 갈아타는 법 ( 분유 갈아타기 ) 모유까지 상황에 따라 달라요! (6) | 2021.03.09 |